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해더 바로가기
페이지 하단 바로가기

보도자료

셀트리온제약의 주요 소식

셀트리온제약, PFS 생산시설 日 GMP 인증 획득

- PFS 생산시설, 일본 PMDA GMP 인증 추가… 유럽, 미국 이어 글로벌 주요국 공급 확대 - 해외 주요 시장 타깃 PFS 완제 공급 中… 글로벌 생산기지로 역할 확대해 성장 이어갈 것   [2023년 9월 27일] 셀트리온제약(068760, 대표이사 서정수)은 27일 일본 ‘PMDA’(Pharmaceuticals & Medical Devices Agency,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가 실시한 청주공장PFS(Prefilled Syringe) 생산시설의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품질관리기준) 실사를 통과해 최종 인증서(Certificate)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일본 PMDA는 후생성 산하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록관리기관으로, 올해 4월 청주공장 PFS생산시설에서 생산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유플라이마’에 대한 일본 PMDA 적합성 조사를 진행했으며 이번에 승인 판정을 내렸다. 이번 인증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ANVISA) 인증에 이어 올해 셀트리온제약이 해당 시설에 대해 획득한 3번째 글로벌 GMP 인증이다. 해당 시설은 앞서 2021년 국내 식약처 GMP 및 유럽 EU-GMP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셀트리온제약은 글로벌 GMP인증을 바탕으로 이미 해당 생산시설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와 유플라이마의 상업화 생산에 본격 돌입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청주공장 PFS 생산라인은 지상 3층, 연면적 2,315㎡(약 700평) 규모로, 원료의약품(DS, Drug Substance)을 공급받아 조제부터 충전, 이물검사, 조립, 라벨링 및 포장까지 전 공정이 가능하다. 제품 타입으로는 펜(Auto Injector), 프리필드시린지(Prefilled Syringe), 프리필드시린지-S(Safety Device) 등 3가지 유형의 PFS 제형 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수요가 높은 펜(AI)과 프리필드시린지-S(Safety Device) 타입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PFS생산시설이 글로벌 인증을 추가하며 고품질의 의약품을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할 수 있는 제조시설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주요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PFS제형 완제 생산의 점진적 확대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상)

2023-09-27 09:26

셀트리온제약, 2023년 3분기 경영실적 발표

- 매출액 934억원, 영업이익 66억원... 영업이익률 7% 기록 - 고덱스·램시마 등 주력 제품 견고한 매출 지속... 시장 진입 신규품목도 마케팅 강화 - PFS 생산시설 글로벌 GMP 인증 추가하며 글로벌 생산기지 입지 확보 [11월 14일] 셀트리온제약(068760)은 14일 실적 공시를 통해 3분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933억 8천만원, 영업이익 65억 5천만원, 영업이익률 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액은 약 2,936억 4천만원, 영업이익은 308억 8천만원을 각각 기록했다. 케미컬의약품 부문에서는 주력 제품인 간장용제 '고덱스'는 분기 매출 약 176억원을 기록하며 견고한 실적을 이어갔다. 다만, 제네릭 재평가에 따른 약가 인하 영향으로 케미컬의약품 부문 총 매출액은 일부 감소하였다. 같은 기간 바이오의약품 부문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와 유방암·위암 치료제 ‘허쥬마’가 국내 시장 점유율 30% 이상을 유지한 가운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9.2%, 1.5% 성장했다. 특히 램시마의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로 변경한 '램시마SC'는 경쟁 제품에서 전환하는 환자가 꾸준히 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2%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회사 측은 주력품목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와 전이성 직결장암 치료제 '베그젤마' 등 신규 품목이 시장에 진입한 만큼, 마케팅 강화와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성장을 이어 나간다는 전략이다. 또한 셀트리온과 함께 복약 편의성을 높인 복합제 개량신약 개발에도 집중해 당뇨병치료제와 고혈압치료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본격적인 상업화 체제에 돌입한 청주공장 PFS(Prefilled Syringe) 생산시설은 글로벌 규제기관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인증을 완료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해당 시설은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GMP, EU-GMP, 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ANVISA)에 이어 최근 진행된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일본 식약처(PMDA) 인증을 최종 획득, '램시마SC'와 '유플라이마' 생산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이번 3분기에도 고덱스와 램시마 등 주력 제품 매출에서 견고한 실적이 이어졌다."며 “주요 품목 및 신규 제품의 시장 진입, 마케팅 및 영업활동 확대를 통해 매출 증대와 이익률 증가에도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상)

2023-11-13 01:11

셀트리온제약, 2023년 2분기 경영실적 발표

- 1,102억원으로 분기 최대 매출 달성… 전년동기比 영업이익 36% 증가, 영업이익률 13.4% 달성 - 케미컬의약품 – 바이오의약품 모두 성장세 지속… '성장동력' 램시마SC 매출 확대 가속화 - 네시나, 이달비 등 주요 인수 제품 생산 내재화 속도… 공급 안정성 및 수익성 강화할 것 [8월 14일] 셀트리온제약(068760)은 14일 실적 공시를 통해 2분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102억 4천만원, 영업이익 147억 7천만원, 영업이익률 13.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4.6%, 영업이익은 36% 증가했다. 특히, 매출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액은 약 2,002억 6천만원, 영업이익은 243억 3천만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각각 3.1%, 30.6% 성장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번 분기에도 케미컬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 양 사업부문이 고른 성장을 보이며 호실적을 올렸다. 특히, 국내 케미컬의약품 부문에서는 2분기에만 약 18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간장용제 ‘고덱스캡슐’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고, 고혈압치료제 ‘이달비’ 품목의 꾸준한 성장이 매출 성장을 도왔다. 셀트리온제약은 다국적 제약사로부터 인수한 당뇨병치료제 ‘네시나’, 고혈압치료제 ‘이달비’ 등 주요 제품의 생산 내재화에도 속도를 내 안정적인 제품 공급과 수익성을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해당 제품들에 대해서는 셀트리온과 함께 복약 편의성을 높인 복합제 개량신약 개발에도 집중해 당뇨병치료제와 고혈압치료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의약품 부문에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유방암·위암 치료제 ‘허쥬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등이 매출합계 약 214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동기 대비 약 46% 성장세를 보였으며, 램시마와 허쥬마가 각각 36%, 30%, 트룩시마는 24%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최근 매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도 경쟁제품에서 전환하는 환자가 꾸준히 늘면서 전년대비 약 4배 이상 매출액이 증가했다. 추가로 지난해 새로 출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와 항암 치료제 ‘베그젤마’도 순조롭게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 추가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본격적인 상업화 체제에 돌입한 청주공장 PFS(Prefilled Syringe) 생산시설은 글로벌 규제기관의 GMP 인증을 추가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해당 시설은 국내 식약처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EU-GMP, 브라질 식의약품감시국(ANVISA) GMP 인증 획득에 이어, 최근 진행된 미국 식품의약국(FDA) GMP 실사도 '지적사항 없음'으로 최종 통과했다. 셀트리온제약은 연내 일본 식약처(PMDA) 등 글로벌 주요 규제기관의 GMP 인증을 추가해 글로벌 생산기지로의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이번 분기에는 양 사업부의 주요 품목이 견고한 매출을 올리면서 안정적인 성장세와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할 수 있었다”며 “주요 품목의 시장점유율 확대와 매출 증대에 힘 쏟는 한편 이익률 향상에도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상)

2023-08-10 00:25

다음
이전